2025 가을학기 제 5강 《김창열》전시탐방 > 협회소식

 

2025 가을학기 제 5강 《김창열》전시탐방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SDA 댓글 0건 조회 386회 작성일 25-10-23 14:16

본문

제5강 전시탐방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 중인 《김창열》회고전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. 이번 탐방은 특히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도슨트로 활동 중인 박유미 회원님의 사전 해설로 시작되어, 작가의 삶과 작품 세계를 한층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.

d8ce7e61ceb834904eca4c90a2b0dd73_1761194834_07.jpg
 
■ 전시 개요
《김창열》 회고전은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김창열(1929–2021)의 예술세계를 집약적으로 조명한 대규모 전시입니다. 회화, 조각, 드로잉, 아카이브 자료 등 120여 점의 작품이 선보였으며, 특히 국내 최초로 공개된 뉴욕 시기 미공개 작품 31점이 포함되어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.이를 통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작가의 조형 탐구와 사유의 궤적을 새롭게 조망할 수 있었습니다.

■ 전시 구성‘상흔·현상·물방울·회귀’의 네 개의 장

상흔의 장
작가 초기의 작품들이 중심이 되었으며, 전쟁과 분단의 시대적 상처를 거친 질감과 강렬한 붓질로 표현했습니다.
 
현상의 장 (뉴욕 시기)
1960~70년대 뉴욕 체류 시기에 제작된 작품들로, 존재와 정체성에 대한 철학적 사유가 추상적 조형 언어로 펼쳐졌습니다. 이번 전시에서는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대표작들이 다수 포함되어 작가의 예술 전환기를 생생히 보여주었습니다.
 
물방울의 장
김창열의 대표작인〈물방울〉시리즈는 동양적 명상성과 서양 회화기법이 결합된 독창적 세계를 구현합니다. 맑고 투명한 물방울은 기억과 시간, 존재의 흔적을 담은 상징적 이미지로, 단순한 시각 표현을 넘어 존재의 본질을 사유하게 만듭니다.
 
회귀의 장
말년의 작품들을 통해 작가는 다시 초기의 주제와 형식으로 되돌아가며, 자신의 예술 여정을 성찰합니다. 물방울이 응결되어 다시 흩어지듯, 작가의 삶과 예술은 순환의 리듬 속에 자리합니다.

d8ce7e61ceb834904eca4c90a2b0dd73_1761196321_22.jpg
<사전 해설중인 박유미 회원>

■ 물방울에 담긴 예술적 사유
“물방울은 나의 사유이자 명상이다.”
김창열의 말처럼, 물방울은 단순한 회화적 이미지가 아니라 존재와 소멸, 기억과 망각의 경계를 탐구하는 철학적 상징입니다. 이번 전시는 그 물방울 속에 응축된 예술가의 내면과 시대의 울림을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.

■ 전시 이후 도슨트와의 대화
d8ce7e61ceb834904eca4c90a2b0dd73_1761196298_17.jpg
<차담회>
관람을 마친 후, 협회 회원들은 근처 카페로 자리를 옮겨 박유미 회원님의 추가 해설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. 현장에서 직접 도슨트로 활동하는 경험을 바탕으로 한 박 회원님의 생생한 이야기와 해석은, 작품의 이면을 보다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했습니다.

■ 마무리하며
이번 전시탐방은 단순한 감상을 넘어, 한 예술가의 생애와 사유의 여정을 따라가는 깊은 탐구의 시간이었습니다. 김창열의 물방울 속에 깃든 침묵과 울림은 우리 각자의 존재를 비추는 거울처럼, 조용하지만 깊은 감동을 전했습니다. 

d8ce7e61ceb834904eca4c90a2b0dd73_1761196417_2.jpg
<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단체 사진>
 
울도슨트협회는 앞으로도 회원 여러분과 함께 다양한 전시 현장을 찾아가며,예술과 관람, 해설이 함께하는 살아있는 배움의 자리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겠습니다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